퀸투스 글리티우스 아틸리우스 아그리콜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퀸투스 글리티우스 아틸리우스 아그리콜라는 로마 제국의 인물로, 비문을 통해 그의 생애와 경력이 알려져 있다. 그는 에퀴테스, 비긴티비리, 트리부누스 밀리툼, 재무관, 안찰관, 법무관을 역임했고, 히스파니아 키테리오르 속주 총독을 지냈다. 또한 페라타 제6군단의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갈리아 벨기카 속주 총독, 판노니아 속주 총독을 역임했으며, 다키아 전쟁에 참전하여 도나 밀리타리아를 수여받았다. 두 번째 집정관을 지낸 후 로마의 프라이펙투스 우르비를 맡았으며, 셉템비리 에풀로눔과 소달레스 아우구스탈레스 사제회에 소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리아 벨기카 총독 - 퀸투스 소시우스 세네키오
퀸투스 소시우스 세네키오는 로마 제국 시대의 정치인이자 문인으로, 호민관, 법무관 후보, 군단 지휘관, 총독을 역임하고 트라야누스 황제를 지지하여 정치적 영향력을 얻었으며, 플리니우스, 플루타르코스 등과 교류하며 로마 지식 사회에 기여했다. - 아틸리우스 씨족 - 마르쿠스 아틸리우스 레굴루스
마르쿠스 아틸리우스 레굴루스는 제1차 포에니 전쟁에서 활약하다 카르타고에 포로로 잡힌 고대 로마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강화 조약 협상 임무를 거부하고 죽음을 택해 로마의 애국심과 용기의 상징으로 칭송받았으나, 현대에는 그의 행동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판노니아 총독 - 트라야누스
트라야누스는 로마 황제로서 다키아 정복과 파르티아 원정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원로원과 협력하여 '최고의 황제'로 칭송받았으며, 대규모 건축 사업과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로마 제국의 발전과 사회 시스템 개선에 기여했다. - 판노니아 총독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193년부터 211년까지 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로, 군사력 강화와 영토 확장에 기여했으나, 군사 독재 체제 강화와 재정적 부담을 가중시켰다.
퀸투스 글리티우스 아틸리우스 아그리콜라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서기 50년경 |
사망 | 서기 107년 또는 108년 |
활동 시기 | 로마 제국 |
정치 경력 | |
원로원 의원 | 로마 원로원 |
집정관 | 서기 97년 |
군 총독 |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서기 97년 ~ 99년) |
군 총독 | 판노니아 (서기 103년 ~ 107년) |
군사 경력 | |
복무 | 로마 군단 |
계급 | 레가투스 |
참전 | 다키아 전쟁 |
2. 생애
타우리노룸(오늘날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발견된 비문들에서 아그리콜라의 쿠르수스 호노룸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16] 기록상의 첫 직책은 에퀴테스의 인사고과 문서에서 ‘세비르 에퀴툼 로마노룸’이었고, 그 뒤에는 ‘비긴티비리’를 구성하는 정무관 중 하나인 ‘데켐비리 스틀리티부스 유디칸두스’(decemviri stlitibus judicandus) 중 한 명이었다.[6][16] 이후 이탈리카 제1군단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으로 복무했다.[6][16]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치세에는 재무관이었고, 이는 늦어도 78년 쯤이었을 것이다.[6][16] 로마 원로원 의원들이 일반적으로 25세 나이에 재무관 직책을 맡았기에, 아그리콜라는 늦어도 53년에 태어났음을 알 수 있다.[6][16]
이후 안찰관을 거쳐 30세에 흔히 맡는 직책인 법무관이었다.[6][16] 두 비문에 히스파니아 키테리오르 속주의 총독으로서 기간이 있긴 하지만, 확실하지 않다.[7][16] 그 다음에 아그리콜라는 페라타 제6군단의 레가투스 레기오니스라는 책무를 맡았다.[7][17] 네르바 황제 치세에 그는 94년부터 97년까지 갈리아 벨기카 속주의 총독이었는데, 네르바가 직접 임명한 것일 수 있다.[7][17] 파스케스를 처음으로 잡던 시기가 지나고 나서, 루키우스 율리우스 우르수스 세르비아누스를 대신하며 서기 100년부터 102년 말까지 판노니아 속주의 총독이었다.[8][18] 판노니아에서 임기를 마친 시기와 로마로 복귀하던 사이 때, 아그리콜라는 다키아 전쟁에 참전하였고, 전직 집정관들에게 적당한 군사 훈장인 도나 밀리타리아 여럿을 수여받았다.[9][19]
두 번째 집정관 직책을 수행하고 나서, 아그리콜라는 로마의 프라이펙투스 우르비를 맡았다.[10][20] 또한 그는 최소한 두 번은 사제회 (콜레기아)소속인 것으로 기록되었으며, 첫 번째는 ‘셉템비리 에풀로눔’, 그 후로는 ‘소달레스 아우구스탈레스’에 입회했다.[6][10]
2. 1. 초기 경력
퀸투스 글리티우스 아틸리우스 아그리콜라는 타우리노룸(오늘날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발견된 비문을 통해 그의 초기 경력을 알 수 있다.[16] 그는 에퀴테스의 인사고과 문서에서 ‘세비르 에퀴툼 로마노룸’으로 처음 임명되었고, 이후 ‘비긴티비리’ 중 하나인 ‘데켐비리 스틀리티부스 유디칸두스’(decemviri stlitibus judicandus)로 활동했다.[16] 아그리콜라는 이탈리카 제1군단에서 트리부누스 밀리툼으로 복무했다.[16]베스파시아누스 황제 치세에 재무관 직을 맡았는데, 이는 늦어도 78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6] 로마 원로원 의원들은 대개 25세에 재무관을 맡았으므로, 아그리콜라는 늦어도 53년에 태어났을 것으로 보인다.[16] 이후 안찰관을 거쳐 30세에 법무관이 되었다.[16] 히스파니아 키테리오르 속주의 총독이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16]
2. 2. 군사 경력 및 속주 총독
퀸투스 글리티우스 아틸리우스 아그리콜라는 세비르 에퀴툼 로마노룸과 비긴티비리를 구성하는 정무관 중 하나인 데켐비리 스틀리티부스 유디칸두스를 역임했다.[16] 이탈리카 제1군단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으로 복무했고,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치세에는 재무관을 지냈다.[16] 이후 안찰관과 법무관을 거쳐, 히스파니아 키테리오르 속주 총독을 역임했다.[16] 페라타 제6군단의 레가투스 레기오니스로 복무했다.[17] 네르바 황제 치세에 그는 94년부터 97년까지 갈리아 벨기카 속주의 총독이었다.[17] 서기 100년부터 102년 말까지는 루키우스 율리우스 우르수스 세르비아누스의 뒤를 이어 판노니아 속주의 총독을 역임했다.[18] 판노니아 총독 임기를 마친 후, 다키아 전쟁에 참전하여 군사 훈장인 도나 밀리타리아를 수여받았다.[19]2. 3. 집정관 및 이후 경력
퀸투스 글리티우스 아틸리우스 아그리콜라는 두 번째 집정관 직책을 수행하고 나서, 로마의 프라이펙투스 우르비를 맡았다.[20] 그는 또한 최소한 두 번은 사제회 (콜레기아) 소속인 것으로 기록되었으며, 첫 번째는 ‘셉템비리 에풀로눔’, 그 후로는 ‘소달레스 아우구스탈레스’에 입회했다.[6][10]참조
[1]
논문
Zwei Konstitutionen für die Truppen Niedermösiens vom 9. September 97
https://www.jstor.or[...]
2005
[2]
논문
I consoli del 97 d. Cr. in due framenti gia' editi dei Fasti Ostienses
https://www.jstor.or[...]
1973
[3]
서적
Fasti Ostienses
Acadamia
1982
[4]
논문
review of I Fasti Consolari dell' Impero Romano dal 30 Av anti Christo al 613 Dopo Christo
https://www.jstor.or[...]
1953
[5]
서적
Adoptive and polyonymous nomenclature in the Roman Empire
Societas Scientiarum Fennica
1992
[6]
CIL
[7]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982
[8]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9]
간행물
The Dona Militaria of the Roman Army
http://etheses.dur.a[...]
2017-08-11
[10]
CIL
[11]
논문
Zwei Konstitutionen für die Truppen Niedermösiens vom 9. September 97
https://www.jstor.or[...]
2005
[12]
논문
I consoli del 97 d. Cr. in due framenti gia' editi dei Fasti Ostienses
https://www.jstor.or[...]
1973
[13]
서적
파스티 오스티엔세스
Acadamia
1982
[14]
논문
review of I Fasti Consolari dell' Impero Romano dal 30 Av anti Christo al 613 Dopo Christo
https://www.jstor.or[...]
1953
[15]
서적
Adoptive and polyonymous nomenclature in the Roman Empire
Societas Scientiarum Fenica
1992
[16]
CIL
[17]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982
[18]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19]
간행물
The Dona Militaria of the Roman Army
http://etheses.dur.a[...]
2017-08-11
[20]
C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